플라스틱 빨대의 대안으로 떠오른 종이 빨대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가 많은 가운데 미국에서 종이 빨대 강제사용을 철폐하는 행정명령이 나오면서 우리나라의 대응도 주목받고 있다.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정책은 2021년 발표됐다. 이듬해 11월부터 1년간 계도기간을 거쳐 식당, 카페 등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다만 강력한 반발 때문에 계도기간을 무기한 연장했다.
이런 이유로 한국의 플라스틱 빨대는 2025년 3월 현재도 계도기간이다.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정책이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사이 빨대를 주로 쓰는 국내 프랜차이즈 커피 업체 사이에선 종이 빨대를 사용하는 업체와 플라스틱 빨대를 이용하는 업체가 명확히 나뉘었다.
전자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엔제리너스 등이고 후자는 메가커피, 빽다방, 매머드익스프레스 등 주로 저가커피 업체다. 저가커피 업체들도 규제 시행을 앞두고 종이 빨대로 변경할 계획을 세웠으나 유예되면서 이를 보류했다.
2020년대 초반 종이 빨대가 플라스틱보다 친환경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다수 나오자 실제 적용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결국 환경부는 업체들에 유예 기간을 주면서 종이 빨대 도입을 요구했고 플라스틱 감축 협약까지 체결했다.
종이 빨대를 도입한 한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 관계자는 “2018년부터 환경부와 협약을 맺었다”며 “지난해 1월에 협약 갱신을 하면서 앞으로도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다만 종이 빨대를 도입한 업체들에 대한 소비자 거부감이 만만찮다. 많은 소비자가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음료의 맛까지 변질시키는 종이 빨대에 불만을 토로했다. 이러한 주장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조하면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2월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 기관 내에서 종이 빨대 강제 사용을 철폐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플라스틱 빨대와 종이 빨대가 환경에 주는 영향은 완전히 불분명한데, 이 때문에 정부와 민간 기업 모두 막대한 비용을 지출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도 아직 프랜차이즈 업체는 기존 종이 빨대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미국 스타벅스는 종이 빨대 유지뿐만 아니라 14개 주에서 플라스틱 컵 대신 친환경 연료로 만든 ‘컴포스터블 컵’을 도입했다. 이는 퇴비화가 가능해 친환경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스타벅스는 플라스틱 빨대를 모든 매장에서 퇴출한 지 5년 만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국내 기업 농심은 지난해 말, 카프리썬의 종이 빨대를 플라스틱 빨대로 원상 복구했다.
소비자 불만과 대외 환경 변화에 정부 역시 플라스틱 빨대 규제 실효성 재검토에 나섰다. 정치권에서도 종이 빨대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메가커피는 쓰고 스타벅스는 안 쓰고...4년째 이어지는 플라스틱 빨대 규제 논란, 뉴스워커, 2025년 3월 10일 입력,
https://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0414
No. | Subject | Date |
---|---|---|
517 | ![]() KABPE / 2025.04.03 |
|
516 | ![]() KABPE / 2025.04.02 |
|
515 | ![]() KABPE / 2025.04.01 |
|
514 | 농촌진흥청, '그린 마이크로바이옴·바이오플라스틱 실용화 미래 농업' 혁신포럼 개최 KABPE / 2025.03.31 |
|
513 | 농진청, 친환경 농업 혁신 위해 학계·업계와 머리 맞대 KABPE / 2025.03.28 |
|
512 | 신학철 LG화학 배터리와 친환경 소재 투자 집중, 인도네시아 '기회의 땅'으로 KABPE / 2025.03.27 |
|
511 | 삼양그룹, 친환경 플라스틱소재 개발 박차 페트병부터 의약품까지 다각화 KABPE / 2025.03.26 |
|
510 | 세계 27개국 대표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생산 감축' 포함해야, 건강에 위협" KABPE / 2025.03.24 |
|
509 | FITI-Normec OWS, 생분해성 시험인증 서비스 강화 KABPE / 2025.03.21 |
|
508 | 나일론 닮은 섬유, 대장균으로 만든다…석유 없이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 KABPE / 2025.03.19 |
|
507 | 친환경 포장재 수요 급증, G8 국가 재활용 정책 톺아보기 KABPE / 2025.03.18 |
|
▶ | 메가커피는 쓰고 스타벅스는 안 쓰고...4년째 이어지는 플라스틱 빨대 규제 논란 KABPE / 2025.03.17 |
|
505 | “미래 순환경제의 기술은 이렇게”…국제 플라스틱·고무산업전시회 [르포] KABPE / 2025.03.14 |
|
504 |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석유계 소재는 공존관계” KABPE / 2025.03.12 |
|
503 | 뷰티업계 ESG 성적은? 원료부터 브랜드 기업까지 평가 확대 KABPE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