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의 세라-진 로이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다양한 종류의 섬유 시료를 바닷물에 담가두고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식물 섬유소인 셀로룰스 기반 천연 섬유부터 PLA와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 총 10종의 섬유 시료를 철망 안에 담아 캘리포니아주 라호이아 연안의 해수면과 10m 깊이 바닥의 바닷물에 담그고 주 단위로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셀룰로스 기반 천연섬유는 한 달 이내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PLA와 석유 기반 섬유, 천연섬유가 일부 섞인 혼합 섬유 등은 14개월에 걸친 실험 기간 내내 분해되는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로이어 박사는 "이번 결과는 `썩을 수 있다는 것`(compostability)이 환경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썩는 플라스틱을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언급하는 것은 환경 내에서 분해되는 물질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PLA 기반 플라스틱이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썩는 플라스틱이 되려면 적절히 통제된 시설이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논문 책임저자인 스크립스 연구소 해양생물학자 디미트리 데헤인 박사는 "플라스틱과 관련한 용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PLA와 같은 바이오플라스틱은 `바이오`(bio)라는 접두사가 붙어 환경에서 생분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실제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PLA처럼 생분해가 가능한 것으로 제시된 물질이 실제 자연환경에서도 그런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합성섬유 플라스틱 오염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에게 구매하는 상품의 소재에 관해 제대로 알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