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의 시대, 지속가능한 건축의 미래를 제시하는 작품들이 광주 곳곳에서 들어서고 있다. 미역줄기로 만든 쉼터, 꼬막껍질로 지은 한옥 등 친환경적인 지역 자원을 활용해 도심에 새로운 공간을 구축하고 있는 광주 폴리 작품들이 눈길을 끈다.
(재)광주비엔날레는 제5차 광주폴리 ‘순환폴리 Re:Folly’ 중 새롭게 완공된 ‘에어폴리’와 ‘이코한옥’을 18일 공개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건축의 미래를 순환경제에서 찾고자 하는 ‘순환폴리’의 목적에 따라 두 작품의 디자인, 재료, 공법 모두 ‘순환’에 초점을 맞춰 구현됐다.
순환폴리는 광주를 중심으로 약 100km 이내 호남 지역의 자연소재나 폐자원 등을 찾아 활용했다. 자원은 가능한 지역 기반으로 찾고 지식, 연구, 디자인 역량은 국내외 넓게 포섭하고자 하는 방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오는 7월 14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어린이문화원 로비에 전시되는 ‘에어폴리’는 전남 고흥에서 채집된 미역 부산물을 활용한 작품이다. 식용으로 쓰이는 미역 잎사귀와 달리 뿌리와 줄기 부분은 딱딱해 채집 과정에서 바다에 버려지곤 하는데 이를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다.
이번 작품의 디자인과 연구 개발을 주도한 ‘바래(BARE)’는 농업과 어업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멀칭비닐, 플라스틱 부표에서 영감을 받아 ‘에어 폴리’를 구성했다. 미역 부산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공기를 넣어 지붕을 만들고 물에 뜰 수 있는 에어 부표로 바닥을 만들었다.
또한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 디자인학과와 협업해 생분해성 미역 원단을 소재로 한 의류와 화분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곤 하는 우비도 5~6세 아이들을 위한 ‘미역 우비’로 만들어 함께 배치했다.
에어 폴리는 조립, 해체, 이동이 자유로운 모듈 방식으로 고안돼 장소나 쓰임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이번 어린이문화원에서의 전시 이후에도 새로운 장소로 이동해 재구성될 예정이다.
이처럼 모든 쓰임이 다하고 나면 다시 자연인 땅과 바다로 돌아갈 수 있어 제작과 사용, 폐기까지 건축 재료의 전 과정을 디자인의 범주로 담아내며 지속가능한 건축을 모색하고 있다.
또 다른 폴리 작품인 ‘이코한옥’은 동명동의 한 폐가 건물을 활용해 재건했다. 광주 폴리가 도시 재생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1960년대 지어진 한옥 건물을 지역의 친환경 자원을 통해 작지만 특별한 공간으로 복구하고자 한 것.
영국의 ‘어셈블’, 벨기에의 ‘BC 아키텍츠’, 프랑스의 ‘아틀리에 루마’ 등 기후위기에 대응해 아름다운 일상 공간을 만드는 팀들이 건축과 디자인에 참여했으며 이들은 지역의 친환경 자원인 굴과 꼬막 껍데기, 미역과 다시마, 볏짚과 왕겨, 건설 현장의 흙과 돌 등을 건축 재료로 사용했다.
‘이코한옥’은 현재 온전히 완성된 상태는 아니며 이달 말께 시민 프로그램을 거쳐 완성될 예정이다. 완성된 공간엔 동구의 사회적 기업이 입주하고 광주비엔날레 또는 지역의 갤러리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문간채를 허물어 넓힌 마당은 조경을 더해 ‘열린 마당’으로 상시 개방될 예정이다.
제5차 광주폴리의 총감독을 맡은 배형민 감독은 “기후변화의 시대에 ‘순환폴리’가 특별한 것은 친환경 지역 자원과 재활용 건축에 관한 탐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편하게 사용하는 도시 공간을 만드는 것에 있다”며 “순환의 건축이 실용적이고 아름답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편 ‘폴리(Folly)’는 본래의 기능을 잃고 장식적 역할을 하는 건축물을 뜻한다. (재)광주비엔날레는 지난 2011년부터 광주폴리 프로젝트를 통해 광주 구도심 지역에 문화적 힘을 전달함으로써 도심재생을 이끌어내고자 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5차 광주폴리는 순환경제의 관점에서 건축의 역할을 모색하며 ‘순환폴리’의 기치를 내걸었다. 올해 가을까지 총 4개의 폴리를 선보일 예정이며 앞서 동명동 동구 인문학당 인근에 제작한 ‘숨 쉬는 폴리’를 공개한 바 있다. 이날 발표한 ‘에어폴리’와 ‘이코한옥’에 이어 옻칠을 구조재 및 내외장재로 사용한 ‘옻칠 집’이 8월께 완성될 예정이다.
미역과 패조류를 건축자재로…‘순환폴리’ 눈길, 광주드림, 2024sus 06월 19일 입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45047
No. | Subject | Date |
---|---|---|
355 | 사각턱 재수술, PCL+ß-TCP로 자가골 형성 유도 KABPE / 2024.06.25 |
|
354 | 와인·치킨에 새집 찾아주기 전쟁[생활속산업이야기] KABPE / 2024.06.24 |
|
353 | 국내 최초 바이오플라스틱 밸류체인 허브를 구축하는 ‘화이트바이오순환경제산업기술연구조합’ KABPE / 2024.06.21 |
|
352 | 석유화학 이어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도 중국에 뺏기나 KABPE / 2024.06.20 |
|
▶ | 미역과 패조류를 건축자재로…‘순환폴리’ 눈길 KABPE / 2024.06.19 |
|
350 | 고려대, 전자 부품 성능·수명 연장 기술 연구 개발 KABPE / 2024.06.18 |
|
349 | 울산 북구 버스정류장에 '생분해 봉투'... '쓰레기 가져가세요' KABPE / 2024.06.17 |
|
348 | 성안 앞둔 플라스틱 국제협약, 삼성·LG·CJ 등 대기업 순환경제 전략은? KABPE / 2024.06.14 |
|
347 | 42조원 규모의 글로벌 재활용 포장재 시장 분석, 주요 기업은 어디? KABPE / 2024.06.13 |
|
346 | CPST, 플라스틱 생분해 촉진…산화생분해성 촉진제 ‘d2w’ 세미나 성료 KABPE / 2024.06.12 |
|
345 | ㈜바텍, “건설현장 생분해성 친환경 박리제 필히 사용해야..” KABPE / 2024.06.11 |
|
344 | bhc치킨, 친환경 포장재 쓴다 "6월 말까지 전 매장에" KABPE / 2024.06.10 |
|
343 | CU, CJ제일제당과 친환경 코팅 용기 상품 출시…PHA 기술 적용 KABPE / 2024.06.07 |
|
342 | 폐기물 줄고 비용도 절감…경북서 생분해성 피복재 실증 착수 KABPE / 2024.06.05 |
|
341 | 탄소중립을 향한 세계 포장 산학의 움직임...그린패키징 국제포럼에서 공유 KABPE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