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한국생분해플라스틱생태계협회
  정보/자료 > 자료실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한국만 뒷걸음

• Wirter : KABPE  
• Date : 2023.08.18  
• Hits : 416

일회용 플라스틱이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해외 주요국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은 물론, 취약계층을 위한 예외규정까지 지정하며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2022년 OECD의 플라스틱 사용에 관한 보고서 ‘글로벌 플라스틱 아웃룩’은 “정부와 국제기구가 궁극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정책과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고서는 “현행대로 플라스틱 사용이 늘어나고 대처가 없다면, 폐기물 비율이 2060년까지 현재의 거의 세 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통해 ‘일회용품’의 정의와 규제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해서는 정의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환경단체 역시 이 점을 지적한다. 세계적인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대한민국’이란 보고서에서 “한국은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 정의가 불명확하고 통합적인 규제 체계가 없다”며 “이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를 소분 포장할 때 쓰는 비닐 포장재나 제품 포장용 PVC랩, 과자 봉지, 음료 용기 등 대부분의 플라스틱 포장재는 아무런 규제도 받지 않는다”며 우리나라의 일회용품 규제의 허점을 지적했다.


독일은 유럽내 일회용 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이다. 그러나 최근 「신포장재법」을 강화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일회용 음료용기에 대한 보증금제를 확대하고, 플라스틱을 함유한 제품이라는 문구를 라벨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2030년까지 플라스틱 재생원료 비율을 표시해야 하며 뚜껑 일체형 페트병 도입을 의무화하였다. 이어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령」을 통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진 일회용 빨대와 식기류 등의 판매를 금지하고 재사용 가능한 식품포장재 및 음료컵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프랑스는 2020년 「낭비방지를 위한 순환경제법」을 제정하여 2040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전면 퇴출을 위한 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2025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25% 감축해야 하며 생분해 안되는 티백 생산을 금지하는 등 전 방위에 걸쳐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 뿐 아니라 환경을 위한 교육도 명문화하였다. 「환경법전」을 개정하여 순환경제가 환경교육 전반에 적용되어 미래세대가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뉴질랜드는 「플라스틱 금지법」을 제정해 2022년부터 음료스틱, 면봉, PVC 식품 용기 등 6종의 일회용 플라스틱에 올해 7월부터는 비닐백, 식탁보, 빨대 및 라벨스티커가 더해져 총 10종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하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한국만 뒷걸음", 이코리아, 2023년08월17일 수정, 08월18일 접속,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640

• Total : 524 ( 26/35 pages)
No. Subject Date
149 New materials from non-biodegradable plastic waste for the packaging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KABPE / 2023.09.11
2023.09.11
148 작년은 생분해, 올해는 바이오…코오롱인더, ‘친환경 소재’에 잰걸음
KABPE / 2023.09.09
2023.09.09
147 생분해에 꽂힌 화학업계…탈탄소 목표, 'PBAT·PLA'에 올인
KABPE / 2023.09.08
2023.09.08
146 플라스틱 단계적으로 퇴출되나?...'국제플라스틱 협약초안' 공개
KABPE / 2023.09.07
2023.09.07
145 “유해물질이요? 말도 안됩니다”…세계 1위 빨대업체의 이유있는 항변
KABPE / 2023.09.06
2023.09.06
144 버려지는 코코넛껍질·새우 껍질, 친환경 스티로폼으로 새활용
KABPE / 2023.09.05
2023.09.05
143 유로팜스, 에코네이쳐와 생분해멀칭필름 브랜드 '이지멀칭' 공동 사용 합의
KABPE / 2023.09.04
2023.09.04
142 [그린&애그리테크 아시아 2023]세진케미칼,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 필름 등 선봬
KABPE / 2023.09.02
2023.09.02
141 [단독] LG화학, 日 바이오웍스에 투자…생분해 플라스틱 사업 강화
KABPE / 2023.09.01
2023.09.01
140 국내 기업 순환경제 대응 전략은...TUVSUD ‘지속가능경영포럼’ 개최
KABPE / 2023.08.31
2023.08.31
139 세계는 지금 ‘그린워싱’ 규제 도입 중…“한국도 ‘가짜 친환경’ 감시하는 입법 필요”
KABPE / 2023.08.30
2023.08.30
138 KATRI, PIS서 ‘ESG경영 지원 친환경 시험서비스 소개’
KABPE / 2023.08.29
2023.08.29
137 식품업계, '친환경 포장'으로 경쟁력 키운다
KABPE / 2023.08.28
2023.08.28
136 생분해 플라스틱 오히려 생물학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
KABPE / 2023.08.23
2023.08.23
135 CTK바이오 캐나다, 밴쿠버시 '제로 웨이스트' 프로젝트 참여
KABPE / 2023.08.22
2023.08.22
GS칼텍스 SCL(재) 서울의과학연구소 아모레퍼시픽 씨티케이